본문 바로가기
  • 바람의 궁전

이탈한 자가 문득/ 램프를 켜다349

고인돌 고인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화도 부근리 고인돌 (유네스코 세계유산) 고인돌(지석묘; 支石墓, dolmen)은 크고 평평한 바위를 몇 개의 바위로 괴어 놓은 고대의 거석 구조물(Megalith)을 말한다. 아시아와 유럽, 북아프리카에 6만기 정도가 분포하며, 숫자상으로 한국에 남·북한.. 2012. 2. 18.
21세기의 새로운 시 쓰기 5 / 이지엽 21세기의 새로운 시 쓰기 5 / 이지엽 라.대지적 여성성,혹은 존재적 성찰 바다에 이르러 강은 이름을 잃어버린다 강과 바다 사이에서 흐름은 잠시 머뭇거린다. 그때 강은 슬프게도 아름다운 연한 초록빛 물이 된다. 물결 틈으로 잠시 모습을 비쳤다 사라지는 섭섭함 같은 빛깔. 적멸.. 2012. 2. 13.
세계유산 화순고인돌 효산리 고인돌 화순 도곡면 효산리에 분포한 고인돌 수량은 측량에서 드러난 총 1,124개의 석재 중 지석 등 하부가 드러난 것 24기, 상석으로 보이는 것 133기 등 총 157기가 고인돌로 추정되며 현재 상석의 하부가 매몰되어 있거나 도괴된 것 중 상석의 형태를 보이는 석재가 119기이.. 2012. 2. 12.
묵언마을(1)에서의 작품제작 시연 / 김성로 그림 / 김성로 화백님 묵언마을(1)에서의 작품제작 시연 김성로 어제 저녁부터 내리는 빗줄기가 하루종일 대차게 내렸다. 아침부터 간단히 그림도구를 정리하고 묵언마을로 나선 길. 안성 땅 묵언마을에는 5월 한 달간 묵언마을 초대 개인전 중이다. 고속도로 주변의 산들이 푸르.. 2012. 2. 8.
21세기의 새로운 시 쓰기 4 / 이지엽 21세기의 새로운 시 쓰기 4 / 이지엽 다. 소시민의 건강한 일상성 사는 일은밥처럼 물리지 않는 것이라지만때로는 허름한 식당에서어머니 같은 여자가 끓여주는국수가 먹고 싶다삶의 모서리에 마음을 다치고길거리에 나서면고향 장거리 길로소 팔고 돌아오듯뒷모습이 허전한 사.. 2012. 1. 31.
21세기의 새로운 시 쓰기 3 / 이지엽 21세기의 새로운 시 쓰기 3 / 이지엽 나. 솟구치는 생명력에의 경의,혹은 생태환경시 일전에 나는 1990년대 북한 서정시의 몇 국면을 살핀 일련의 글들 중에서 북한시의 건강한 서정성과 만날 수 있는 21세기 우리의 시학을 미래에 대한 예견 중 솟구치는 생명력에의 경의를 가장 먼.. 2012. 1. 31.
21세기의 새로운 시 쓰기 2 / 이지엽 21세기의 새로운 시 쓰기 2 / 이지엽 가. 문명비판의 정신사적 몸부림 그렇다면 21세기의 새로운 시쓰기는 무엇일까, 시인은 무엇에 고민을 해야 하며 어떠한 시적대상에 대해 어떻게 사유해야 하는가. 21세기의 우리시단의 지배 담론은 무엇이 될 것인가. 눈치를 보며 시를 쓸 하등.. 2012. 1. 31.
21세기의 새로운 시 쓰기 1 / 이지엽 21세기의 새로운 시 쓰기 1 / 이지엽 1. 21세기 시학의 층위 현재 우리 한국 현대시의 시학의 충위는 대개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볼 수 있다. 1. 서정과 믿음의 시학 2. 생명과 구원의 시학 3. 해체와 모순의 시학 4. 몸과 욕망의 시학 5. 속도와 쾌락의 시학 6. 고독과 죽음의 시학 7. 존재와.. 2012. 1. 31.
[스크랩] 프리다 칼로 Frida Kahlo(프리다칼로) Album : Frida 1. 나의 탄생 My Birth 2. 전설 Legend 3. 프리다 Frida 4. 푸른 뱀 Blue Snake 5. 해바라기 Sunflower 6. 여행자 Traveller 7. 바람의 노래 Ode To The Wind 8. 러시안 룰렛 Russian Roulette 프리다 칼로의 초현실주의 그림들처럼 서정성과 독창성을 아우르는 마법 같은 색채감을.. 2012. 1. 11.
[스크랩] 달리 Salvador Dali 달리 Salvador Dali(1904~1989) 무의식의 위력(威力)과 기상천외의 발상 출생 ; 1904년 05월 11일 학력 : 피게라스 미술 학교 - 마드리드 국립 미술 학교 직업 ; 스페인 출신 초현실주의 서양화가 경력 ; 1925년 바르셀로나 개인전, 1940년 미국 캘리포니아 이주, 71년 그린란드에 달리 미술관 건.. 2012. 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