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람의 궁전

나호열 시인/詩 창작 강의266

[스크랩] 茶山의 향기]<7> 실학사상 詩로 말하다 &nbsp; [정약용 탄생 250주년…茶山의 향기] 실학사상 詩로 말하다 동아일보기사입력 2012-04-02 03:00:00 기사수정 2012-04-02 09:49:27 &nbsp; &nbsp; &nbsp; &nbsp; &nbsp; 詩 2500수… ‘못다한 愛民’의 슬픔 노래해 &nbsp; &nbsp;송재소 교수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1762∼1836)의 인간적인 면모를 가장 잘 보.. 2012. 4. 20.
[스크랩] 茶山의 향기<8> ‘물 먹는’ 시기 견디는 법 &nbsp; 茶山의 향기 ‘물 먹는’ 시기 견디는 법 동아일보 기사입력 2012-04-16 03:00:00 기사수정 2012-04-16 14:42:24 &nbsp; &nbsp; &nbsp; 승승장구하던 그, 유배의 아픔 이겨낸 건 ‘소명’이었다 &nbsp; &nbsp; &nbsp; &nbsp; &nbsp; 8일 전남 강진군 강진읍에서 다산 정약용을 기리는 다산제에 참여한 지역 학생.. 2012. 4. 20.
[스크랩] 도취의 시학 / 박철화 도취의 시학 - 보들레르를 중심으로 박 철 화 (문학평론가, 중앙대 교수) 디오니소스 신화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서양의 역사에서도 술은 아주 오랜 전통을 갖고 있다. 그 전통은 문화예술사에서는 더욱 두드러진다. 명징하고 냉철한 의식으로 조화와 균형을 중시한 아폴론적인 전통에 .. 2012. 3. 31.
높이의 詩學 / 조정권 높이의 詩學 조 정 권 서양에서는 높이에 대한 상상력이 있었을까. 산은 지상에서 우뚝 솟아 있는 ‘어떤 높이’이다. 동양 시인들은 예부터 그 높이 위에 정신의 거처를 올려놓고 있다. 산은 눈으로 목측하는 가시거리가 아니라, 정신의 눈동자가 假側한 드높은 정상. 도달하려는 피안의.. 2012. 3. 30.
잘 표현된 불행 / 황현산 잘 표현된 불행 / 황현산 시는 모든 것에 대해 온갖 수단을 동원하여 끝까지 말하려 한다. 말의 이치가 부족하면 말의 박자만 가지고도 뜻을 전하고, 때로는 이치도 박자도 부족한 말이 그 부족함을 드러내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인다. 능변의 재능을 가진 사람이 시를 잘 쓰는 것은 그럴 .. 2012. 3. 8.
부유하는 존재를 향한 서정의 시선 - 오정국 시집 - 『파묻힌 얼굴』 부유하는 존재를 향한 서정의 시선 오정국 시집 - 『파묻힌 얼굴』 나호열 (시인) 시가 정보의 언어로 구성되었다 하더라도 시는 정보를 전달하는 언어게임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 비트겐슈타인 시의 새로운 지평 오늘에 있어서 문학, 특히 시의 앞길은 탄탄대.. 2012. 3. 1.
따뜻한 허무주의자의 노래 / 황정산 따뜻한 허무주의자의 노래 황정산 문학평론가, 시인 젊은이들의 희망을 빼앗아 사회를 타락시키고, 사람들로 하여금 일할 의욕을 떨어뜨려 세상을 암울하게 만든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허무주의에 덧씌워진 부정적 인식이다. 하지만 세상을 타락시키고 세상을 어둡게 만드는 것은 허무.. 2012. 3. 1.
곁눈질을 멈추고 / 나호열 곁눈질을 멈추고 나호열 생각해 보건대, 이즈음의 세상은 너무 분노가 가득 차 있는 것 같다. 아니, 분노가 아니라 분노를 조장하는 말들이 넘쳐나고 있다는 것이 더 적확한 표현이겠다. 세 치 혀에서 나온 말들이 달리고 달려서, 유령처럼 소리 소문 없이 불질을 해대어서 가뜩이나 부조.. 2012. 2. 29.
육화되지 않은 새로움은 뼈만 남은 생선에 얹히는 허공과도 같다 / 나호열 육화되지 않은 새로움은 뼈만 남은 생선에 얹히는 허공과도 같다 나호열 1. 군집 群集생활을 하는 아프리카의 얼룩말의 줄무늬는 같은 것이 없다고 한다. 우리 인간도 예외는 아니어서 지문과 목소리도 다 다르다. 이 ‘다름’이야말로 전체와 부분을, 집합과 분할을 각성하게 하므로서 .. 2012. 2. 29.
시 혹은 시적인 것 / 강동우 시 혹은 시적인 것 강동우(한양대교수) 1. 들어가며 최근에 읽은 시부터 하나 소개하자. 인도 동부 서벵골의 한 마을에서 코끼리가 주민들을 잡아먹는 사건이 벌어졌다. 이 농촌마을은 굶주림을 이기지 못한 야생 코끼리들이 종종 출현하는 곳. 힌두교에선 가네사(코끼리신)가 존재할 정.. 2012. 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