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호열 시인/詩 창작 강의265 [스크랩] 물의 시학 물의 시학 현대시에 구현된 물의 상징적 의미들 송 기 한 1. 현대시와 물 현대시의 가장 중요한 의장 가운데 하나는 상징이다. 보조관념을 통해서 원관념의 의미를 확정하는 것이 상징의 기본 원리인데, 그것이 특별히 은유와 구별되는 것은 관습성의 유무에서 찾아진다. 또한 상징은 그.. 2013. 12. 9. [스크랩] 한국시 왜 감동이 없는가 한국시 왜 감동이 없는가 우리시의 현황과 감동의 문제/김윤정 1. “오늘의 한국시가 감동적이지 않다”라는 명제 ‘우리 시가 감동적이다’라는 명제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우선 시가 갖춰야 할 규준들이 상정되어 있어야 하고 특정 시들이 이 틀.. 2013. 11. 12. [스크랩] 자끄 라깡[Jacques Marie Emile Lacan 자끄 라깡[Jacques Marie Emile Lacan, 1901 ~ 1981] - 욕망과 성의 철학자 [Jacques Marie Emile Lacan, 1901 ~ 1981], 1901년 프랑스의 파리 시에서 태어났다. 고등사범학교에서 처음으로 철학을 접하였다, 1920년에 대학에서 의학공부를 시작하여 1926년에는 정신의학으로 자신의 전공을 .. 2013. 1. 26. 우리는 왜 시를 사랑하는가 우리는 왜 시를 사랑하는가 정호승 우리들은 누구나 가슴에서 치솟아 오르는 시의 덩어리들을 하나씩 안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남북의 정상이 만나는 순간 그 자체가 하나의 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정도의 감격이 있는 시를 우리가 평생 동안에 한편이라도 쓸 수 .. 2013. 1. 23. 라캉의 구조주의적 정신분석학과 프로이트의 ‘재해석’ 라캉의 구조주의적 정신분석학과 프로이트의 ‘재해석’ 스스로 프로이트주의자라고 자칭하면서도 많은 측면에서는 프로이트와 다른 견해를 표방한 자크 라캉 Jacques Lacan(1901-1981)의 주장들은 그 자체로서 주목할 가치를 지닌다. 그는 정신분석학적 구상들을 구조주의적으로 재구성함으.. 2013. 1. 23. 지젝의 라캉 읽기―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을 중심으로 지젝의 라캉 읽기―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을 중심으로 “존재적 차원에서는 아주 허약한 것이라고 내가 여러분에게 설명한 바 있는 무의식의 지위는 윤리적이다” 홍준기 라캉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혹은 병행해서 반드시 읽어야 할 라캉주의 이론가가 누구냐고 묻는다면, 우리는 .. 2013. 1. 23.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학과 욕망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학과 욕망 라캉(Jacques Lacan;1901~1981) : 파리의 유복한 카톨릭 집안에서 태어나 1919년 의과대학에 다녔으나 철학, 문학, 초현실주의 사상에 심취하여 앙드레 브르통, 루이 아라공, 조르쥬 바타이유, 클로스포스키 등과 교류하였다. 1932년 의학박사 학위논문인 "인성과 관.. 2013. 1. 23. 현대시의 공감의 문제 / 이숭원 현대시의 공감의 문제 이숭원(서울여대 국문과 교수) 1. 시의 원초적 형태 현재 문예지에 발표되는 시작품을 보면 한 번 읽어서 쉽게 이해되지 않는 난해한 작품들이 상당히 많다. 고급 독자들이 선호하는 문학계간지의 경우는 난해성의 수준과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현대시의.. 2013. 1. 3. 한국시와 평화문학의 현황과 전망 / 강경희 한국시와 평화문학의 현황과 전망 강경희 1. 평화문학의 역할은 무엇인가? 역사적으로 문학의 임무 중 하나는 현실의 제문제를 명확히 제기하고, 부조리하고 부당한 현실에 대해 엄중한 비판을 가하는 것이다. 특히 동시대를 살아가는 작가의 책무는 시대가 요청하는 문제에 대해 진지하.. 2012. 12. 27. 언어에 대한 성찰 / 나호열 언어에 대한 성찰 나 호 열 1. 텔레비전 연속극은 우리가 자각하지 못하는 생활의 한 단면을 드러내주기도 하고 또 삶의 꿈을 불러 일으켜 주기도 한다. 어째든 분명한 것은 그 수많은 연속극들이 한결같이'남녀의 사랑'을 극 전개의 필수요소로 채택하고 있으며. 그 결말은 대개가 기쁘고.. 2012. 12. 18. 이전 1 2 3 4 5 6 7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