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호열 시인/詩 창작 강의265 [스크랩] 올바른 시정신과 세계성으로서의 시 올바른 시정신과 세계성으로서의 시 박주택(시인, 경희대 교수) 오지 않는 사람을 기다리듯 시를 기다린다는 것은 고통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고통스러운 만큼 행복도 큰 법이다. 도대체 시가 무엇이기에 매어 있단 말인가? 멀게는 고등학교 문예반 시절이나 연합서클 시절로부터 오늘에 .. 2015. 1. 29. [스크랩] 시 詩의 반성 反省 시 詩의 반성 反省 염무웅 雨水節 南녘 바람에 江얼음 녹누마는 엄니 가슴 恨은 언젯 바람에 풀리노 눈 감아 깊은 잠 드시고야 저승 따 다 적시는 궂은 비로 풀리려나 ① 팔할이 노예근성, 나머지는 쓸개다. 애비니 할애비니 고조니 고고조 쩍부터 북, 남, 동, 서, 조아려 국.. 2015. 1. 29. 안도현의 시세계 안도현의 시세계 나호열 구정 연휴도 지나고, 이제 졸업과 입학 그리고 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여러분들께서 많이 기다리셨을 것으로 생각되면서도 예정을 넘기게 되어 죄송스럽게 생각합니다. 우선 여러분들께서는 자료실에 올려져 있는 안도현 시인에 관련된 자료들을 꼼꼼히 읽어 .. 2014. 8. 17. '언어의 특성' 부분 / 나호열 '언어의 특성' 부분 나호열 이번 강의의 주제는 언어의 특성이었습니다. 강의의 의도는 여러분들에게 시는 언어를 도구로 한다는 것을 우선 말씀 드리고 나서 시에서 씌여지는 언어들을 어떻게 적절하게 사용하여야 하는 것인가를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었습니다. 어떤 분은 比喩法 등 수.. 2014. 3. 26. ‘잘 쓴’과 ‘좋은’ 사이의 시 / 나호열 ‘잘 쓴’과 ‘좋은’ 사이의 시 나호열 1 파레이돌리아Pareidolia 현상이라는 것이 있다. 1899년 조세프 재스트로우 Joseph Jastrow는 재미있는 한 장의 그림을 통해 우리의 감각적 기능(시각)이 편향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한 장의 간단한 그림, 왼쪽을 향해 보면 오리인데, 오른쪽으로 보면 토.. 2014. 3. 26. 예술가의 초상 / 나호열 예술가의 초상 나호열 예술가는 불멸을 꿈꾼다. 아니 모든 사람이 불멸을 꿈꾼다. 단지, 예술가임을 자각하는 사람들은 불멸에 대한 열망이 좀 더 강하다고 얘기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독일의 철학자 짐멜이 Simmel 이 단순한 생명의 연장 more life 이 아니라 그 본능을 넘어서는 more than life .. 2014. 3. 11. [스크랩] 시라는 괴물과 더불어 살기 시라는 괴물과 더불어 살기 박태일(시인 ․ 경남대 교수) 1. 시 계간지 『시안』이 문을 닫았다. 펴낸이 오탁번 시인은 종간호 편집 후기에 썼다. “내 이렇게 될 줄 알았다. 어쩌자고 시 잡지를 장장 15년, 61권이나 냈던 말이냐.” 창간 뒤 열다섯 해,“ 『시안』이 .. 2014. 3. 4. 시에서의 역설 2014년 2월 9일 정릉숲 시에서의 역설 정유화 공광규 시인의 시적 기법인 역설은 악을 통해서 선을, 혹은 허위를 통해서 진실을 드러내는 기법으로 작동한다. 그러므로 그의 역설에서는 대부분 대립되는 두 개의 대상이 존재하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두 존재가 표면적으로 확연하게 대립.. 2014. 2. 10. [스크랩] 릴리시즘_반서정의 서정과 80, 90년대 시 릴리시즘_반서정의 서정과 80, 90년대 시 김춘식 1. 한국 서정시의 기원과 민족적 정서, 자연, 전통, 조선어 최근 서정시에 관한 찬, 반의 논의는 근본적으로 서정시의 본질적 개념을 둘러싼 문제라기보다는 서정시 혹은 시 자체가 시대적인 조건과 환경속에서 그 .. 2014. 1. 23. 시는 나를 비추는 거울이다 / 나호열 시는 나를 비추는 거울이다 나호열 광릉수목원에 갔었다. 겨울이 막 삭막한 도시에 불청객처럼 찾아온 어느 날 이었다. 각양각색의 나무들이 운집한 숲은 적막하였으나 그곳 또한 생명의 싸움터이기는 마찬가지였다. 메타세콰이어와 같은 활엽수들은 잎들을 떨구고 선정에 든 듯 하였으.. 2014. 1. 22. 이전 1 2 3 4 5 6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