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람의 궁전

나호열 시인/詩 창작 강의266

[테드 휴즈]풍경에 대한 시쓰기 Porqueroles 출처-세상과 세상사이 풍경에 대한 시쓰기 테드 휴즈 Ted Huges Poetry in the Making 해변가에서 접는 의자 위에 앉아 있는 모든 사람들이 바라보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그들이 바라보는 것은 바다이다. 하지만 바다는 그저 바다일 뿐이며 우리는 모두 바다가 어떻게 생긴 것인지를 알고 있어서, 그 .. 2008. 8. 23.
시의 언어는 어떤 언어인가 시의 언어는 어떤 언어인가 박상천 시를 일컬어 흔히 언어예술이라고 한다. 언어예술이라는 말은 시의 핵심이 무엇인지 잘 드러내고 있다. 따지고 보면 언어는 시의 질료(material)이면서 시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시에 관한 이론을 공부하건 시 창작의 방법을 공부하건 그 출발은 언.. 2008. 4. 11.
[이승훈]소쉬르의 언어학 [이승훈]소쉬르의 언어학 자의적 변별적 기호 체계 20세기 문학 이론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언어학자는 스위스 태생의 소쉬르이다. 현대시와 언어학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피기에 앞서 그의 언어학이 보여주는 특성을 간단히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그에 의하면 언어는 자의적 변별적 기호 체계.. 2008. 3. 2.
[이승훈]모더니즘의 시적 기법 [이승훈]모더니즘의 시적 기법 -이상의 시를 기준으로 *기법의 개념* *환치와 기법 예술작품의 기능이 우리들의 지각 양상을 바꾸는 데 있다고 주 장한 이론가들은, 널리 알려진 것처럼, 러시아 형식주의자들이다. 그들에 의하면 예술작품은 의도적인 인간행위의 산물로 인식된다. 여기서 의도적이라.. 2008. 2. 17.
시에 대한 시인의 태도 시에 대한 시인의 태도 나 호 열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간행한 2006년도 版『문예연감』에 따르면 한국문인협회와 민족작가협회에 등록된 시인의 수는 4163명이고 이는 총 등록인원 9061명의 절반에 육박하는 숫자이다. 문학의 위기가 거론되고 프로슈머 현상- 생산과 소비가 일부 특정 집단에서 이루.. 2006. 7. 31.
시인의 의무 시인의 의무 장 미셸 몰푸아(프랑스 시인) (번역: 박성창/서울대 불어불문학과 교수) 서구에서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가장 오래된 전설 중 하나인 오르페우스 신화에 따르면 시인(詩人)은 지옥의 괴물들을 순화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전설일 뿐이고 시(詩)라는 .. 2006. 5. 24.
존재탐구에 대한 몇 가지 방식 존재탐구에 대한 몇 가지 방식 나호열 온통 가벼움이 점령해 버린 세상이라고 하더라도 무거운 사유는 존재하기 마련이다. 찰라의 광휘에 열광하는 시대라 하더라도 정지의 미학과 침묵의 어려움을 두려워하는 마음이 완전히 사라져 버릴 것이라는 단정은 아직은 유보하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문학.. 2006. 5. 21.
내일이면 닿으리라 / 나호열 내일이면 닿으리라 나호열 내일이면 닿으리라 산새소리에 매화가 피고 시냇물 향기만큼 맑은 그 마을에 가 닿으리라 나그네는 밤길을 걸어야 하는 법 어둠이 피워내는 불빛을 보며 그것이 얼마나 아름다운 꽃인지 그것이 멀리에서 바라보아야만 얼굴이 보이는 꽃인지 알아 나그네는 또 걷고 걷는다 .. 2006. 5. 9.
좋은 시의 기준 좋은 시의 기준 나호열 1. 어림 잡아 한 해에 발표되는 작품 수를 헤아려 보면 족히 만 편이 넘을 것으로 짐작된다. 경향 각지에서 발행되는 잡지와 동인지에서 쏟아져 나오는 시들을 평론가들이라고 해서 어찌 다 읽을 수 있겠는가? 해마다 ‘올해의 좋은 시’라는 표제를 달고 출간되는 시들을 읽으.. 2006. 5. 2.
觀念의 起源관념의 기원 觀念의 起源관념의 기원 로 크 John Locke(1632- 1704) 영국 경험론의 대표적 철학자이며 近代 民主主義의 대표적 사상가. 그는 철학. 교육. 종교 등 여러 방면에서 영국의 자유주의 사상을 발전시켰으며, 특히 그의 정치철학은 1688년의 名譽革命의 지도적 이론이었다. 주요저작으로는 『寬容에 관한 書翰』 .. 2006.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