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한 자가 문득/풍경 너머의 풍경578 석창石窓 홍세섭 석창石窓 홍세섭 유압도 -제작년도 미상 국립중앙박물관 해오라기-제작년도 미상 국립중앙박물관 비압 -제작년도 미상 -국립중앙박물관 2011. 5. 13. 한옥순 첫 시집『 황금빛 주단』 한옥순 첫 시집『 황금빛 주단』 한옥순 첫 시집『 황금빛 주단』 도서출판 원애드 2011 해설 / 나호열-나이테, 사슬을 풀어내는 나무의 노래 自序 미련처럼 꼭 잡고 있던 탯줄 같은 끈을 이제야 끊는다 아직 미완성인 이것들, 호적에 올리듯 한 놈 한 놈 詩라는 이름으로 묶는다 마음 가뿐할 줄 알았는.. 2011. 5. 11. [스크랩] 탄은 이정(李霆)의 풍죽도(風竹圖) 바람이 분다 세월의 모진 바람이, 세파의 험한 바람이 분다. 하지만 여기서 꺾일수는 없다. 그냥 힘없이 꺾어지기에는 스스로 쌓아온 자존심이 용남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조선 선비로써 이정도 바람에 굴복한다면 그 여리디 여린, 무능한 나라때문에 고통받은 힘없는 백성은 어찌하란 말인가? 그래.. 2011. 4. 30. [스크랩] 신사임당의 <초충도 草蟲圖>중 [수박과 들쥐] <초충도 草蟲圖> 는 풀과 벌레를 소재로 한 그림을 말합니다. 하지만 엄격하게 풀과 벌레만으로 구성된 예는 드물고 대개 채소·과일·꽃·새와 함께 그려지므로 영모화(翎毛畵)·소과화(蔬果畵)·화훼화(花卉畵)의 범주에서 이해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초충도 하면 대표적인 화가가 신사.. 2011. 4. 30. [스크랩] 이경윤(李慶胤)의 고사탁족도(高士濯足圖) 학림정 이경윤은 조선 중기(1545-1611)의 화가입니다. 동생 이영윤(李永胤) 또한 이름 난 화인이었고, 특히 서자인 이징(李澄, 호 : 虛舟)은 도화서 화원으로 당대에 이름을 떨친 화가였습니다. 그는 왕실의 종친으로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증손이며, 청성군(靑城君) 이걸(李傑)의 아들입니다. 그가 .. 2011. 4. 30. [스크랩] 사랑하는 내 딸아 - 다산 정약용의 매화쌍조도 정치가 어지러운 시절이라고 합니다. 민생의 고통은 가중되고 그 고통을 개선하고자 하는 모든 시도는 경찰의 방패와 법 앞에 무릎 꿇기를 강요 받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희망은 잘 보이지 않고 앞으로 더 어려워지거라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렇게 정치가 어지럽고 국민들이 생활이 힘겨워질.. 2011. 4. 30. [스크랩] 옛그림 감상법(4) - 육법화론에 대하여 옛 그림 읽기 &#8211; 육법에 대하여 모든 예술은 주관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어떤 그림이나 음악도 감상자에 따라 좋기도 하고 전혀 감동을 받지 못 할 수도 있으며 혹은 정반대의 평가를 내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주관적인 예술작품에서도 잘된 그림, 부족한 그림 등등 의 평가는 얼마든지 가능하.. 2011. 4. 30. [스크랩] 옛그림 감상법(3)- 준법에 대하여 일반인들이 동양화를 접하면서 가장 많이 본 그림이 산수화 일 것입니다. 중국 변방에서부터 한국, 일본 홋카이도 저 끝자락까지 어디를 가보아도 볼 수 있는 그림인 산수화는 동양화에서 가장 많이 그려진 그림일 것입니다. 우리나라 옛그림에서도 강서대묘의 산악(山岳)표현부터 조선후기 실경산수.. 2011. 4. 30. [스크랩] 옛그림 감상법(2)- 감상요령 옛그림 감상법(1) 에서 소개한 오주석 교수님의 견해를 계속 이어서 소개합니다. 옛그림 감상법(2)- 감상요령 감상 요령의 첫째는 좋은 작품을 무조건 많이, 자주 보는 것이다. 예술 작품은 살아 있는 생명체다. 그러므로 이성으로 접근해서 지식으로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욱 소중한 것은 감.. 2011. 4. 30. [스크랩] 옛그림 감상법(1)-옛그림 읽기 어떤 미술품이던 감상할때 미술품 대각선 길이의 1배 내지는 1.5배 정도의 거리에서 보아야 제 멋을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화가가 그림을 그릴때 그 정도 거리의 관람자가 볼거라 생각하고 그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식적인 이야기지만 작은 그림은 앞으로 가까이 가서 큰 그림은 뒤에서.. 2011. 4. 30.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