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호열 시인/세상과 세상 사이201 바람의 흔적, 존재를 찾아서(1) 바람의 흔적, 존재를 찾아서 - 박강순 시집 『바람 흔적』 나 호 열 여자 그는 그 곳에 가고 싶어했다. 아니, 그는 그곳을 나에게 보여주고 싶어했다. 몇 년이 흘렀지만, 우리에게 변화된 것은 없었다. 몇 년 전보다 조금 더 늙었고, 세상에 대한 불만이 늘어난 만큼 푸념과 절망이 늘어간 것을 빼고는 말.. 2009. 2. 12. 오타와Ottawa에서의 편지 오타와Ottawa에서의 편지 나호열 4월의 눈 오전 7시에서 8시로 가는 페이지 235에서 236페이지로 가는 그 사이에 눈이 내린다 사월의 겨울나무 위에 돋는 상추 그 푸른 상처가 세상을 경이로 이끈다 쌓이지 않는 관념들 그리움의 옷자락에 얼핏 비치는 투명힌 살의 이끌림 아작아작 밀어 올리는 풀빛 産婦.. 2009. 2. 12. 詩의 造形性 詩의 造形性 나호열 시를 분석하고 갈래를 짓는 작업은 엄밀히 말해서 시인의 몫이 아니다. 시가 무엇이며, 무엇을 지향하고 있는가를 추적하는 일은 비평가들에게 주어진 임무이다. 시인은 자신의 작품을 통해서 시 그 자체를 발현하고 완성해 나갈 뿐이다. 새로운 형식과 새로운 경향을 찾아가는 시.. 2009. 2. 12. 체험과 시적진실 체험과 시적 진실 나호열 지난 호에도 언급한 바 있지만, 한. 일 월드컵은 우리 국민들에게 희망과 용기 그리고 자부심을 한껏 고취시킨 열광의 한마당이었다. 부정과 부패에 찌들린 현실에 분노하고 주눅들었던 국민들에게 불가능할 것 같았던 꿈을 현실로 뒤바꿔 놓은 젊은 태극전사들은 도전의 아.. 2009. 2. 12. 알곤퀸 파크 Algonquin Park 알곤퀸 파크 Algonquin Park 나호열 알곤퀸은 캐나다 토론토에서 북쪽으로 자동차로 세시간 쯤 걸리는 곳에 있는 자연공원이다. 서울 면적의 서너 배쯤 되는 넓이에 이천 오백 개가 넘는 크고 작은 호수와 삼 백 마리의 늑대, 이 천 마리의 검은 곰과 무스가 서식하고 있다는 것으로 그곳을 설명한다는 것.. 2009. 2. 12. 킹스톤에서의 하루 킹스톤에서의 하루 나호열 1. 촛불을 켜며 저녁 식탁에 혼자 앉아서 책을 읽을 때나 와인을 마실 때, 편지를 읽을 때 촛불을 켠다. 촛불이 만들어내는 너울거림, 그림자와 음영이 가져다주는 펄럭임이 불필요한 시선을 삭제해주고 명징과 혼돈 사이의, 빛과 어둠의 경계를 부드럽게 나누어주기 때문이.. 2009. 2. 12. 사랑의 힘 사랑의 힘 나호열 아침 출근길, 본관 앞 목련이 드디어 꽃봉오리를 열었습니다. 4월인데도 유난히 변덕스런 날씨 때문에 잔뜩 웅크린 나무들이 안쓰러웠는데 아! 하고 짧은 감탄사가 하나로 세상을 환하게 하였던 것입니다. 무엇에 그렇게 홀연해졌을까요? 무엇 때문에 그렇게 넋을 놓아버렸을까요? .. 2009. 2. 12. WWW WWW -디지털 시대의 연극 위기인가? 축복인가? 나호열 영국하면 우리는 세익스피어를 떠올리고 내용은 알지 못해도 세익스피어의 4대 비극 리어왕, 맥배드, 오델로, 햄릿을 외어낼 수 있을 만큼 세익스피어는 우리에게 낯익은 이름이다. 세익스피어의 탄생지 스트레드포드 어폰에이본은 세익스피어가 .. 2009. 2. 12. 문학의 힘 문학의 힘 나호열 1. 들어가는 글 -日新又日新의 세계 오늘날 우리는 넘실대는 정보의 바다에 둘러싸여 있다. 대량으로 쏟아져 들어오는 정보 는 우리를 방황하게 만든다. 피터 드러커Peter F Drucker는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Post-Capitalist Society』에서 지식을 '행동을 하는데 효과가 있는 정보' , '결과에 .. 2009. 2. 12. 디지털. 야누스의 두 얼굴 디지털. 야누스의 두 얼굴 나호열 1. 들어가는 글 -日新又日新의 세계 오늘날 우리는 넘실대는 정보의 바다에 둘러싸여 있다. 대량으로 쏟아져 들어오는 정보 는 우리를 방황하게 만든다. 피터 드러커Peter F Drucker는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Post-Capitalist Society』에서 지식을 '행동을 하는데 효과가 있는 .. 2009. 2. 12.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