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람의 궁전

나호열 시인/詩 창작 강의262

상징, 그 감춤의 시법 시의 은폐(隱蔽) 지향성 / 임보 p r a h a 상징, 그 감춤의 시법 시의 은폐(隱蔽) 지향성 임보 ―상징구조(象徵構造) 모든 언술(言述)은 욕망의 기록이다. 언술 속에는 화자의 소망 곧 의도한 바가 담겨 있게 마련이다. 대개의 경우는 그 의도가 양성적으로 드러나지만 언제나 그런 것은 아니다. 시의 대표적인 표현기법 가운데 하나는 감.. 2010. 1. 31.
다른 존재로 태어나기 위해 공중 부양하는 메주 p r a h a 다른 존재로 태어나기 위해 공중 부양하는 메주 장석주 시인.문학평론가 메주 정재분 처마 끝에 매달린 소리 없는 풍경에게 긴긴 밤이 다녀가고 언 햇살이 스며들어 실핏줄이 자랄 즈음 묵묵한 어느 손길 윗목 구들장 내어 줄 제 담요를 뒤집어쓰고 기운이 차올라 하얀 꽃을 피우는 겁니다 고.. 2010. 1. 31.
제주도 ☞그리움의 보고, 구엄리 바닷가 p r a h a 제주도 ☞그리움의 보고, 구엄리 바닷가 - 모든 섬의 고향이요 어머니인 섬 이생진 그리움의 보고, 구엄리 바닷가 걸어가고 싶다. 두 다리가 멀쩡한데 앉아 있는 것은 구속이다. 어디론가 가자. 어디로 가느냐, 왜 가느냐, 그건 내가 걷기 시작한 때부터 무의미한 질문이다. 카를 부세의 「저 산.. 2010. 1. 20.
제주도 시에 나타나는 공간성 p r a h a 제주도 시에 나타나는 공간성 이태희 “제주 사람이 아니고는 진짜 제주 바다를 알 수 없다.” ──문충성, 「제주바다·1」 1. 제주도는 아름다운 섬이다. 봄이면 지천으로 흐드러지는 유채꽃, 에메랄드 빛 푸른 바다, 깎아 지른 절벽에서 바다로 떨어지는 장쾌한 폭포들, 섬의 중앙에 우뚝 솟.. 2010. 1. 20.
紀行詩, 그 재미와 함정 / 나호열 사뮈엘사원 / p r a h a 紀行詩, 그 재미와 함정 / 나호열 배경숙의 신작시 10 편을 읽는다. 배경숙은 근래에 시집 『사랑할 때 섬이 된다』를 상재 한 바 있는데, 섬 이라는 이격된 공간 속에서 물질적 욕망으로 가득 찬 오늘의 삶을 바라보고 반성하는 실험을 끈질기게 시도하고 있으며, 이 시집은 그의 .. 2009. 12. 31.
천혜의 운둔지, 변산반도 / 고성만 곰소염전 / p r a h a 천혜의 운둔지, 변산반도 ──부안의 여러 시인들 고성만 1. 별자리가 된 시인, 박영근 박영근 시인은 전북 부안군 변산면 마포리 산기마을에서 1958년에 태어났다. 그는 거기서 마포초등학교를 다니다가 5학년 때 익산의 이모 집으로 이주했고 익산남성중학교를 졸업하고 전주고등.. 2009. 12. 28.
진정한 시의 죽음을 위하여 / 강동우 p r a h a 진정한 시의 죽음을 위하여 - 새로운 미학의 건설을 위한 반성 강동우(문학평론가) 아방가르드(전위)의 핵심은 죽어버린 것이 무엇인가를 아는 데 있고, 아리에가르드(후위)의 핵심은 그것을 아직 좋아하는 데 있다 - 페터 뷔르거(Peter Burger) 1. 새로운 미학의 건설? 시(문학)에서 실험적인 작업을.. 2009. 11. 16.
쓰는 행위와 읽는 행위 / 나호열 쓰는 행위와 읽는 행위 나호열 (시인, 예술세계 편집주간) ‘무엇을’과 ‘어떻게’ 의 문제 경상북도 고령읍 양전동 음각화는 높이 3미터 세로 6미터쯤 되는 바위에 상형되어 있다. 고고학자들에 따르면 선사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당시의 생활상이나 제의 祭儀의 풍습을 연구하는데 소중한 자료라고 .. 2009. 10. 13.
치환은유와 병치은유 (은유에 관한 보고서) p r a h a 치환은유와 병치은유 (은유에 관한 보고서) - 홍문균선생의 '시어론'에서 1) 옮겨놓기 비유가 단순히 유츄에 의한 유사성의 발견이나 말의 효과적 전달을 위한 장식이거나 새로운 말의 창조라는 수사학적 논리로는 미흡한 것이며 차라리 비유의 현대적 논의에서 보여주고 있는 언어의 상호작용.. 2009. 10. 5.
시 쓰기와 자아 찾기 / 이은봉 시 쓰기와 자아 찾기 이은봉(시인, 광주대 문창과 교수) 1. 언어, 나, 자아발견 사람은 누구나 태어난 지 2년이 지나면 말을 하기 시작한다. 직접 발화를 하지 못하는 농아도 두 살이 넘으면 말, 곧 언어 속에서 살아가기 마련이다. 두 살이 넘으면 말을 한다는 것,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은 언어로 상징되.. 2009. 1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