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람의 궁전

나호열 시인985

어느 유목민의 시계 / 나호열 어느 유목민의 시계 나호열 하늘이 어둠의 이불을 걷어내면 아침이고 멍에가 없는 소와 야크가 마른기침을 토해내면 겨울의 발자국 소리가 들려 식솔만큼의 밥그릇과 천막 한 채를 거둬들이면 그 때가 저녁이다 인생을 모르는 사람들은 유목민이라 부르지만 그들은 멀리 떠나 본 적이 .. 2014. 3. 2.
바람의 전언 / 나호열 바람의 전언 나호열 저기, 별똥별 그리우면 지상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했다 밤을 기다려 하루 이틀 마다 않고 하늘을 우러르는 일은 맑고 그윽한 일 오지 않는 전언 대신 겨울이 왔고 바람이 불었다 푸른 이끼가 돋은 약간의 우울에는 쌉싸름한 냉소가 섞여 주저하며 닫지 않은 문 안으로.. 2014. 3. 2.
시에서의 역설 2014년 2월 9일 정릉숲 시에서의 역설 정유화 공광규 시인의 시적 기법인 역설은 악을 통해서 선을, 혹은 허위를 통해서 진실을 드러내는 기법으로 작동한다. 그러므로 그의 역설에서는 대부분 대립되는 두 개의 대상이 존재하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두 존재가 표면적으로 확연하게 대립.. 2014. 2. 10.
[스크랩] 릴리시즘_반서정의 서정과 80, 90년대 시   릴리시즘_반서정의 서정과 80, 90년대 시 김춘식     1. 한국 서정시의 기원과 민족적 정서, 자연, 전통, 조선어     최근 서정시에 관한 찬, 반의 논의는 근본적으로 서정시의 본질적 개념을 둘러싼 문제라기보다는 서정시 혹은 시 자체가 시대적인 조건과 환경속에서 그 .. 2014. 1. 23.
[스크랩] 주인으로 사는가 노예로 사는가 주인으로 사는가 노예로 사는가 한겨레 | 입력 2013.10.06 20:00 [한겨레]내 서재 속 고전 임제어록 임제 지음, 정성본 역주 한국선문화연구원 펴냄(2003) 검색하기" class=keyword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ED%94%84%EB%A6%AC%EB%93%9C%EB%A6%AC%ED%9E%88%20%EB%8B%88%EC%B2%B4&nil_profile=newskwd&nil_id=v2013.. 2014. 1. 22.
[스크랩] 사물의 체계 화제의 신간 우리가 보는 것은 진짜인가… 평생 實在를 의심한 사회학자 배영달·경성대 프랑스지역학과 교수 입력 : 2013.11.16 03:02 [불멸의 저자들] 장 보드리야르 걸그룹은 '소녀'를 흉내내고 소녀들은 '걸그룹' 따라한다… 그렇다면 누가 '오리지널'인가 실재보다 실재적인 것에 포위된 .. 2014. 1. 22.
[스크랩] 풍요로운 삶을 위한 과학의 탈신화화와 종교의 탈과학화 풍요로운 삶을 위한 과학의 탈신화화와 종교의 탈과학화* / 우희종 [53호] 2013년 03월 21일 (목) 불교평론 우희종 hjwoo@snu.ac.kr 1. 현대사회 속의 과학과 종교 과거에 신학자는 철학자이자 과학자였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였다. 그러한 시절, 비록 서양 문화권에서는 신과 인간이 분리되어 있었.. 2014. 1. 22.
[스크랩] `왜 지금 미학인가` 상상력 … 미학은 미래의 경제학이다[ 중앙일보입력 2014.01.18 00:22 / 수정 2014.01.18 01:48 북 콘서트 … 유홍준·진중권 '왜 지금 미학인가' 유홍준, 미학은 학문 아닌 삶의 방식 … 기술 하나로는 새것 못 만들어 진중권, 좌우 이념 대립 미학적으로 불쾌 … 한국 자연미와 서양 생태학 통해 유.. 2014. 1. 22.
시는 나를 비추는 거울이다 / 나호열 시는 나를 비추는 거울이다 나호열 광릉수목원에 갔었다. 겨울이 막 삭막한 도시에 불청객처럼 찾아온 어느 날 이었다. 각양각색의 나무들이 운집한 숲은 적막하였으나 그곳 또한 생명의 싸움터이기는 마찬가지였다. 메타세콰이어와 같은 활엽수들은 잎들을 떨구고 선정에 든 듯 하였으.. 2014. 1. 22.
나호열의 詩와 토크 나호열의 詩와 토크 시 Talk -열 두 편의 시와 이야기- ▪ 때 : 2013.12.27(금) 오후2시-4시 ▪ 곳 : 도봉문화원 회의실 주최 : 도봉문화원 후원 : 도 봉 구 <본 사업는 도봉구 사회단체보조금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나호열 차 례 나호열 시에 대한 짧은 생각들 1p. 시와 토크를 열면서 나.. 2014.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