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끼꽃[이준식의 한 시 한수]〈47〉
이준식 성균관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입력 2020-02-28 03:00수정 2020-02-28 04:51
햇볕이 들지 않은 곳일지라도 푸르름은 때맞춰 저절로 오기 마련. 이끼꽃, 쌀알만큼
자그마해도 모란처럼 활짝 꽃 피우는 걸 배우네.
(白日不到處, 靑春恰自來. 苔花如米小, 也學牡丹開.)
―‘이끼(태·苔)’·원매(袁枚·1716∼1797)
이끼가 꽃을 피운다? 그저 축축하고 비릿하고 물컹물컹한 이끼 더미에서 활짝 핀
이끼가 꽃을 피운다? 그저 축축하고 비릿하고 물컹물컹한 이끼 더미에서 활짝 핀
꽃송이를 떠올린 발상이 기발하고 섬세하다. 꽃이라면 화사한 복사꽃, 풍성한 모란,
정갈하고 오뚝한 목련쯤을 연상하련만 시인은 쌀알만 한 이끼꽃에 마음의 눈길을
보낸다. 따스한 햇볕 세례도 가꾸는 이의 정성도 제대로 향유해 본 적이 없는 이끼,
모란처럼 활짝 꽃 피우겠다는 포부가 당차다. 시인에게 있어 이끼의 개화는 다가올
미래의 꿈이다. 그러기에 이끼는 모란처럼 풍성한 개화를 바지런히 ‘배우고’ 있다.
하고많은 꽃 가운데 굳이 꽃 중의 제왕이라는 모란을 답습하겠다는 꿈이 그래서 더
야무지다. 눈길 주기가 쉽지 않은 이끼를 향한 자분자분한 목소리에서 무수한 ‘흙수저들’의
적막함을, 그러나 다가올 저들의 개화를 다독이는 시인의 웅숭깊은 마음을 읽는다.
음습하고 어두운 곳에서 더 무성해지는 이끼, 그 누구로부터 일말의 주목인들 받았으랴.
소외와 낙오의 상처를 다반사로 겪었을 테지만 묵묵히 혹은 악착같이 자기 역량으로만
푸름을 키운 끈질긴 생명력은 범접하기 어려운 경이라 할 만하다.
시인 김경성의 ‘이끼’에도 그런 경이가 엿보인다. “썩은 나무의 등걸을 지나 동굴 속까지
/너른 바위 안쪽까지/철퍽철퍽 미끄러지는 물 잔등이어도/마른 입술 툭툭 터지도록 긴 가뭄이어도
/몸 깊숙이 남겨놓은 자리가 있어/후드득 지나가는 빗방울 몇 개만 있어도/순식간에 그대 곁으로 달려간다, 달려간다.”
이준식 성균관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 출처 dongA.com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228/99916508/1
'丹野의 깃털펜 > 풍경이 되고싶은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전역 / 김경성 (0) | 2022.01.11 |
---|---|
당신의 시 ‘김경성 시인’ (0) | 2020.12.10 |
아픔에 대하여 / 황정산 (0) | 2019.08.11 |
눈 없는 사물을 바라보는 눈 /최 준 (0) | 2019.08.11 |
생주이멸生住異滅 성주괴공成住壞空의 시의 세계 / 주경림 (0) | 2019.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