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한 편의 여러 생각 · 1
-두보杜甫의 「춘야희우春夜喜雨」
진경환(한국전통문화학교 교양과정부 교수)
좋은 비 시절을 알아 好雨知時節
봄이 되니 곧 내리기 시작한다 當春乃發生
바람 따라 밤에 몰래 스며들어 隨風潛入夜
소리 없이 촉촉이 만물을 적신다 潤物細無聲
들판길 구름 낮게 깔려 어둡고 野徑雲俱黑
강 위에 뜬 배의 불만이 밝다 江船火燭明
새벽녘 분홍빛 비에 적은 곳 보니 曉看紅濕處
금관성에 꽃들 활짝 피었네 花重錦官城
* 이 ‘낯선’ 번역은 서울대학교 중문학과 이병한 교수의 것이다.(『치자꽃 향기 코끝을 스치더니』, 민음사, 2000, 32면)
두보杜甫의 「춘야희우春夜喜雨」라는 시다. 어느 노학자는 “봄밤에 내리는 반가운 비”로 번역한 바 있다. 험 잡기 같다는 혐의를 벗어나기 어렵겠지만, 아무래도 ‘내리는’이라는 표현은 사려 깊지 않은 것 같다. 시방 시에서 화자는 새벽녘에 일어나 밤 새 내린 비에 젖은 세상을 바라보고 있지 않은가.
이 시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두 견해가 있다고 한다. 오랜 가뭄 끝에 비가 내리니 만물이 생기를 얻게 되는 것을 기쁘게 생각한 것으로 농민들의 마음을 대신한 것이라는 설과, 때맞춰 내린 비에 금관성의 꽃이 화사하게 피어날 것이니 봄 경치가 아름다울 것이라는 향락적인 기대감을 적은 것이라는 설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이 둘이 어찌 별개의 다른 견해이겠는가. 신경림 시인이 노래한 대로 “가난하다고 해서 왜 모르겠는가”(「가난한 사랑 노래」중에서) 말이다.
여하튼 이 시는 ‘밤-새벽’이라는 시간, ‘들-강’이라는 공간, ‘어둡고 밝은’ 색채의 대비를 전면에 내세워 ‘기쁨[喜]’을 묘사하고 있는데, 기분이 경박하게 달떠 있지 않고 차분해서 좋다. “어젯밤 송당에 비 내려 / 베갯머리 서편에선 시냇물 소리 / 새벽녘 뜨락의 나무를 보니 / 자던 새 둥지를 뜨지 않았네昨夜松堂雨, 溪聲一枕西, 平明看庭樹, 宿鳥未離栖”(고려 시대 시인 고조기高兆基의 「산장우야山莊雨夜」)의 분위기와 닮아 있다.
그런데 다른 데는 그리 어렵지 않게 감상할 수 있겠는데, 마지막 구절이 실로 어렵고도 어렵다. “금관성에 꽃들 활짝 피었네”의 원문은 ‘花重錦官城’이다. ‘금관성’을 빼면 ‘화중’만 남는다. ‘꽃들 활짝 피었네’는 사실 『두시언해杜詩諺解』의 ‘고지 해 폣도다’의 직역이므로(‘해’는 ‘많이’의 고어다.) 이 부분 번역의 저작권은 두시의 언해에 참여한 옛 문인학자들에게 있다. 그들은 의역을 감행하였던 것 같다. 이 부분을 황동규 시인은 “꽃이 금관성을 짓누르다”로 해석했다고 한다. 역시 시인다운 상상력이다. ‘활짝’이나 ‘많이’가 지닌 육체적이고 물량적인 해석과는 다른 층위다. 그러나 너무 앞서 간 게 아닐까?
‘화중’은 글자 그대로 ‘꽃이 무겁다’는 뜻이다. 밤새 비를 온몸으로 맞았을 테니 무거워 고개 숙일 만하다. 실제 ‘화중’은 큰 사전을 보면, ‘비를 흠뻑 머금은 꽃’이란 뜻이기도 하다. 이 축자 해석도 나쁘지 않다고 본다. 밤새 비 맞아 고개 숙였다고 슬프다니, 고민스럽다니 하는 식의 촌스러운 상상만 하지 않는다면 말이다. 위의 “자던 새 둥지를 뜨지 않았네”의 정서를 떠올려 보면 좋겠다. 새들은 밤새 내린 봄비를 온몸으로 맞이하고 있었다고 말하면 너무 작위적인가?
달리 볼 길은 없을까? 이렇게 답답할 때 상식으로 돌아가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중重’은 무겁기도 하지만 거듭되는 것이기도 하다. 말하자면 중복이다. 금관성은 얼마나 아름다운지 비단[錦]을 그 이름으로 삼고 있다. 그런데 거기에 봄비마저 내렸으니 그야말로 금상첨화 아닌가. 그래서 ‘화중’이라고 하지 않았을까? 역시 너무 초보적인 상상인가?
그렇다면 시인들이여, 어느 것이 가장 바람직한 해석일까? 아니면 이 모든 해석을 다 포함한 다중성을 이 시 한편이 가지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각자 생각해 보고 가장 좋은 번역을 해보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 진경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한국전통문화학교 문화재관리학과 교수,
저서로는 『고전의 타작』등 다수
출처 / 우리시회 http://cafe.daum.net/urisi
'이탈한 자가 문득 > 램프를 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즐거운 오독誤讀 (0) | 2011.01.01 |
---|---|
김시습의 「고풍古風」 (0) | 2011.01.01 |
[18회-최종회]「수평적 시각의 시」外 (0) | 2011.01.01 |
[17회]「사무사思無邪」 外 (0) | 2011.01.01 |
[16회]「시인의 네 유형」 外 (0) | 2011.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