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를 찾아서] 봄 깊어지는 길목에서 찾아본 천년 은행나무 | |
지난 주초 부여 규암면 진변리 백강마을에서 만난 개나리 꽃. | |
[2011. 4. 18] | |
봄바람에 하냥 흔들리는 부여 백강마을의 개나리 꽃 무리. | |
언제나처럼 개나리는 벚꽃보다 오래 피어있습니다. 개나리는 벚꽃보다 먼저 노랗게 피어났지만 여전히 노란 꽃노래에 한창입니다. 줄지어 서서 피어난 개나리 곁에는 생뚱맞게 모감주나무 한 그루가 있는데, 여기에는 아직 잎도 나지 않았고, 가지 끝에는 지난 해 가을에 맺은 꽈리 닮은 열매가 간당이고 있습니다. | |
부여 내산면 주암리의 천년 넘은 은행나무. | |
큰 나무들은 아직 뿌리에서부터 물을 미처 다 끌어올리지 못한 모양이에요. 모두가 화창한 봄날을 아우성치며 반기는데, 부여 내산면 주암리 은행나무는 천년의 세월을 그렇게 살아왔다는 듯, 의뭉스럽게 아직 한 장의 잎도 내지 않았습니다. 이만큼 봄 햇살 따사로우면 조금은 움직일 듯도 한데 말입니다. | |
천년 세월의 굴곡이 여실히 느껴지는 주암리 은행나무의 줄기. | |
23미터나 되는 큰 키에 줄기 둘레는 9미터 가까이 될 정도로 큰 주암리 은행나무는 1천 살이 넘는 오래 된 나무입니다. 백제의 도읍을 부여로 옮기던 때인 성왕 16년(538)에 이 마을에 살던 어른이 심은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백제, 신라, 고려가 망할 때에 칡넝쿨이 나무를 타고 오르는 수난을 겪었다고 합니다. 특이한 이야기입니다. | |
긴 세월 동안 마을 지킴이로 살아온 주암리 당산나무이자 수호목. | |
옛날에 이 주변에 있던 절집의 한 스님은 이 나무의 가지를 베어내 쓰려다가 목숨을 잃었을 뿐 아니라, 그 절까지도 폐사 지경에 이르렀다는 이야기도 전할 만큼 모두가 신령스럽게 여기는 나무입니다. 지금도 이 나무에서는 해마다 정월 초이튿날 당산제를 지냅니다. | |
신문 칼럼에 소개한 김구 향나무의 다른 모습. | |
지난 주말에 보내드린 나무 편지에서는 충남 마곡사의 김구 향나무 이야기를 담은 신문 칼럼을 하이퍼링크로 소개해 드렸습니다. 김구 선생이 광복 직후 찾아와 심은 나무이지요. 그 신문에 소개된 사진과 다른 사진 한 장 더 추가합니다. 작은 나무이지만, 김구 선생의 결기를 닮아 옹골차게 잘 자란 향나무입니다. | |
봄 기운을 일찌감치 감지하고 노란 꽃봉오리를 처음 내밀던 때의 산수유 꽃봉오리. | |
이른 봄, 개나리와 함께 노랗게 피어났던 산수유 꽃은 이제 다 떨어졌습니다. 한낮의 바람결에는 봄 기운이 한결 뚜렷합니다. 오늘 내리는 비에도 봄 기운이 담기겠지요. 많은 양이 아니어서, 다른 때라면 우산 없이 걷고 싶어지는 반가운 봄비이지만 아무래도 요즘 비는 피하는 게 낫지 싶습니다. 벚나무, 개나리, 목련, 산수유의 가녀린 꽃잎들이 비 머금게 되면 더 많이 낙화할 겁니다. 한창 피어있을 때는 잘 몰라도, 땅 위로 떨어져 널부러진 꽃잎들을 바라보게 되면 뒤늦은 그의 존재감 때문에 아쉬움은 한층 더 클 겁니다. 늦기 전에 창문 밖에 늘어서서 피어난 봄꽃들 한번 더 바라보세요. 그래야 한 주일를, 이 봄을 더 싱그럽게 꾸려갈 수 있지 않을까요? |
'이탈한 자가 문득 > 풍경 너머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또 그리워지는 그 날 그 찬연했던 목련 꽃 (0) | 2011.04.26 |
---|---|
보랏빛 광대나물 꽃 (0) | 2011.04.25 |
[나무를 찾아서] 더불어 살아가는 큰 나무와 작은 풀 꽃들의 어울림 (0) | 2011.04.17 |
[나무를 찾아서] 언제나 변함없이 흐르는 나무의 시간을 찾아서 (0) | 2011.04.11 |
[나무 생각] 한 톨의 씨앗이 지어내는 우주의 신비를 그리며 (0) | 2011.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