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네/ 생 라자르 역
모네와 인상주의
노성두(서양미술사학자. 이화여자대학교 기호학연구소 연구원)
클로드 모네(1840-1926년)
모네는 '인상주의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유복했던 마네와 달리 모네는 북부 프랑스의 시골마을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모네의 삶은 인상주의와 함께 달렸다. 살롱전 안팎에서 여러 차례 승승장구하기도 했지만, 인상주의에 대한 열기가 시들자 그의 인생도 나락으로 떨어졌다. 모네는 많은 기록을 남기고 수많은 편지를 썼지만, 가장 많은 편지는 친구와 수집가, 미술애호가들에게 생활비를 구걸하거나 작품을 사달라는 내용으로 채워졌다. 집세를 낼 돈이 없으면 센 강에 텐트를 치고 노숙했다. 허름한 배를 고쳐서 작업실을 꾸미기도 했다. 햇빛 내려 쬐는 파리의 센 강 인근 야외에서 물놀이 하는 사람들, 산책하는 사람들, 강물에 퉁기는 빛의 효과를 그린 것은 생존과 예술을 병행하려던 그의 마지막 선택이었다. 모네는 배에서 먹고 자며 붙박힌 곳 없이 떠돌이 생활을 했다. 그리고 자신의 오감을 통해서 체험한 자연의 조형과 색채를 입히는 작업에 몰두했다. 외광과 화가라는 조소어린 용어가 태어난 것도 바로 여기에서였다. 많은 인상파 동료들이 인상주의의 종언을 선언하고 뿔뿔이 흩어졌을 때에도 모네는 평생 동안 씨름했던 인상주의의 완성을 위해 고독한 실험을 계속했다. 센 강의 풍경에서 벨일의 거친 파도로 나아가고 다시 지베르니의 정원으로 회귀하는 그의 예술적 모험은 사라져가는 시력은 빛과의 승산 없는 싸움을 벌이는 거장의 비극적인 여정을 증언한다.
19세기 후반까지만 해도 화가가 되려고 하면 여전히 미술 아카데미에 입학해서 여러 해 동안 전통적인 역사화를 공부하면서 고전 거장들의 작품을 베끼고 익히는 숙련과정을 거쳐야 했다. 이들은 성서와 신화 이야기를 밑줄쳐가면서 읽고 또 머리를 맞대고 토론했다. 가장 이상적인 아름다움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화면 구성의 균형과 채색의 농담을 어떻게 맞추어야 하는지 의견을 나누었다. 특히 파리의 미술 아카데미에서는 얼굴이 준수하고 몸매가 잘 빠진 남녀 모델들을 돈 주고 고용해서 작업했다. 이들에게 고대 조각 작품과 똑같은 포즈를 취하라고 요구한 다음에 이리 재고 저리 달아보면서 그림을 그렸던 것이다.
그런데 모네는 모델을 아틀리에에 불러들이는 대신 스스로 소재를 찾아다녔다. 모네는 자연과 소재에 접근하는 시각 뿐 아니라 실제로 색을 고르고 붓을 사용하는 방식도 아카데미 출신들과 달랐다. 팔레트에다 색을 혼합하지 않고, 튜브 물감을 직접 짜서 붓에 묻혀 사용했다. 캔버스는 당연히 오만가지 색들로 얼룩 투성이가 되었다. 배색, 조색의 기본 개념조차 무시하는 막무가내식 방식이었다. 팔레트를 방불케 하는 캔버스는 빨강, 파랑, 노랑 등 원색의 무질서한 색점들이 아우성을 쳤다. 그림을 그린다기보다 물감 덩어리로 후려갈기듯이 그렸다. 이것은 놀라울 정도로 '현대적'인 작업방식이었다.
모네는 기차가 뿜어내는 증기나 뜰에 쌓인 눈을 그릴 때도 흰 색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가까이에서 본 그의 그림은 모호함과 혼돈이 지배했지만, 몇 걸음 떨어져서 관찰하면 눈부신 색감이 살아났다. 1874년, 모네가 북부 프랑스 르 아브르 항구의 일출을 묘사한 <인상. 해돋이>가 전시되었을 때, 전혀 우아하거나 아름답지 않은 미술, 그러나 미술의 미래를 이끌어갈 새로운 전설이 탄생했다. 그것은 바로'인상주의'였다.
모네에 관련된 기록들
모네는 가장 좋은 옷을 입고, 소매에는 레이스 커프스를 달고 금장 지팡이를 휘두르면 서부역 생 라자르의 역장에게 명함을 내밀었다. 긴장한 역장은 모네를 즉시 안으로 안내했고, 모네는 역장에서 자신을 이렇게 소개했다. "나는 화가 클로드 모네요" 역장은 모네에게 자리를 권했다. 역장은 예술에 대해서 아는 게 없었지만, 그런 만큼 허락할 용기도 없었다. 한순간에 상대를 제압한 모네는 ' 나는 당신네 역사를 그리기로 결심했소, 오랫동안 북부역을 그릴까, 서부역을 그릴까 고심했는데, 아무래도 당신네 역이 특색이 있는 것 같소." 하고 말했다. 모네는 원하는 것을 얻었다. 역장은 기차를 멈추게 하고 풀랫폼을 폐쇄했으면, 모네가 원하는 대로 연기를 내뿜을 수 있도록 기관차에 석탄을 가득 채웠다. 모네는 며칠씩이나 서부역을 점거한 채 그림을 그렸다. 그리고 그곳에서 여섯점의 작품을 완성했다. (1877년 전후)르누아르
출처-모더니즘의 시작, 다시보는 서양근대미술사
'이탈한 자가 문득 > 램프를 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뫼 김성로 화백의 그림 만다라 / 손소운 (0) | 2009.03.17 |
---|---|
시는 불멸이고 시인은 새가 된다 / 노창재 (0) | 2009.03.15 |
모방과 재현의 변증법, 시뮬라크르의 반복 복제 / 이영욱 (0) | 2009.02.24 |
길을 걷다가 나를 만나게 되면 / 이영욱 (0) | 2009.02.24 |
한국시의 정체성 찾기 / 염창권 (0) | 2009.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