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람의 궁전
이탈한 자가 문득/ 램프를 켜다

동양화 각색의 특징

by 丹野 2017. 7. 2.

 


동양화 각색의 특징 

 




1)분채




백색

동양화의 백색은 사상적으로도 가장 중요하고 물감이 종류도 많아 잘 알고 써야한다. 각기 그 특색이 있고 주의할 점이 있다. 호분, 운모, 수정 재료는 투명하고 그 밖의 백색들은 불투명한 편이므로 용도와 소재에 맞게 선택하여야 한다.




① 백토 : 옛부터 도자기 재료로 많이 쓰였다. 이 백토를 쓰려면 물로 잘 씻어서 정제해야 한다. 피복력은 보통이며 착색력도 약한 편에 채색 용도로는 많이 쓰이지 않는다. 종류로는 순백 외에 약간 황색기가 있는 것도 있고, 적색기가 있는 것도 있다. 비중은 호분보다도 무거우며 불투명색이다.



② 연백 : 이 색은 유화에서 많이 쓰이는 실버 화이트인데 피복력은 있으나 유해성분이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하고, 주나 카드뮴계의 황색과 혼합하면 흑변하기 쉽다. 동양화 채색으로서 안심하고 쓰기는 어려운 안료이다.





③ 아연화 : 주성분은 산화아연이며 유화에서 제일 많이 쓰이는 징크 화이트를 말한다. 황화수소에도 변화가 없으며 독성있는 주색 안료와 혼합하여도 변하지 않는다. 피복력은 약한 편이며 연백보다는 약간 황색기가 난다.



④ 산화 티탄 : 백색안료 중에서는 피복력과 백색도가 가장 강하다. 아영화보다 백색도가 약 여섯 배나 강하다.



⑤ 수정말 : 수정의 원석을 분말로 만든 것이다. 피복력은 약한 편이며 분말이 고우면 고울수록 불투명이 된다. 암채색과 혼합하여 쓰는 경우가 많다. 이 이외에 방해석도 많이 쓴다. 석채의 백색이 이것이다.



⑥ 운모 : 운모는 대게 화강암층에서 채취하는데 광택도 잘 나고 비중은 가벼운 편이다. 그러나 붓에 잘 묻지 않고 아교물과 혼합하여도 떨어지기 쉬우므로 쓰기가 어렵다.



⑦ 호분 : 호분은 옛부터 현재까지 널리 알려진 백색의 대표적 안료이다. 호분은 다른 것에 비해 비중이 무거워서 다른 색과 혼합이 잘 되며 동양화에서 제일 인기있는 물감의 하나이다. 이 호분의 또 하나의 특징은 오랜 시일이 지날수록 백색도가 더 좋아진다는 점이다.


호분의 주성분은 탄산석회이다. 원료인 조개껍질을 분말로 만든 후 물로 장시간 세척하여 물통에 넣고 침전시켜서 입자를 분류한다. 이렇게 침전시킨 것을 건조판 위에서 천연건조시켜 제품을 만든 것이다.

색은 순백색일수록 그리고 가루가 고울수록 고급품이다. 제조사에 따라서 명칭, 호수 등이 틀리며 최상품은 특호라고도 한다. 3호, 4호까지는 그림용이고, 그이하는 하급품이고 불순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백색도가 떨어지므로 그림용으로 적당하지 않다.




▲ 강경구, <초상>,1994 / 한지에 먹과 호분만으로 독특한 표현효과를 얻고있다.






등황

원래 이색은 주로 인도, 중국, 태국, 실론 등에 자생하는 가르시닉 망고스징과의 나무에서 채취한 천연 색소인데, 분말상태로 유화용 기름과 혼합하면 약간 연한 금색같이 된다. 기름과 혼합하면 내구성이 좋으나 수채재료로 쓰면 내구성이 좋지 않으며 햇빛을 쬐면 퇴색한다. 약간 독성이 있고 퇴색이 되는 색이라서 지금은 많이 쓰지 않고 대신 합성 유기안료를 쓴다.




주색은 적색 안료 중에서는 고대로부터 가장 많이 사용하여온 것인데 기록에보면 기원전 앗시리아나 아라비아의 조각에도 이 색을 사용했던 것으로 나타나 있다. 중국에서는 주나라 때부터 매우 좋고 다양한 주색이 제조되었다. 주색의 주성분은 황화수은이며 비중은 8.2정도이다. 주의 종류도 아주 많으며 황색기가 ㅏㄶ은 것부터 흑색에 가까운 것까지 다양하다. 천연 주색의 원료인 진사는 석영 같은 돌 속에 포함되어 있는 천연광석으로 중국에서 많이 생산된다. 중국 외에 스페인, 북해도 등에서도 약간 산출된다. 순도 높은것은 아주 고가이며 한방에서는 의약품으로도 요긴하게 쓰인다. 그러나 대부분의 것은 불순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 주색은 역사적으로는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지만 그 화학적 성분은 독성이 강하고 다른 채색과 혼합하면 변색되기 쉬워 현대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특히 은박 위에 주색으로 채색하면 흑변하고 연화물과 같이 혼합하여 써도 색이 변한다. 최근에는 유기안료에서 고급안료를 생산하여 편리하게 쓰고 있다.

동양화에서 이 주색을 즐겨 쓰는 이유는 색상이 아주 아름답기 때문이다. 옛날에도 수은과 유황의 원소를 화합시켜서 인공진사, 즉 서양의 버밀리언색을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었따. 진사에 대하여서는 희랍인이나 로마인도 사용법을 알고 있었는데 폼페이 벽화에서도 이 색을 발견할 수 있다. 기원전 2000년 중국 은시대 점술용 거북껍질이나 짐승가죽에 조각한 부분에서 이 주색이 검출되기도 하였다. 인주로도 사용하는 것이다.





연지

동양화 패색 가운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색 중의 하나이다. 옛날에는 동물의 피를 연지색으로 사용한 일도 있었으나 동물의 피는 잘 변하므로 그 다음엔 식물에서 특히 꽃에서 채취하여서 사용하였다. 야생 일년생 풀인 천초의 뿌리에서 추출하는 터키 특산 알리자린이 오랫동안 사랑을 받아왔으나 지금은 값이 너무 비싸서 사용하지 않지만, 서구의 몇개 제조사에서는 지금도 천연 알리자린이란 이름으로 유화, 수채화 물감으로 제조하고 있다. 야생 천초는 터키 이외에도 한국, 대만, 만주, 일본, 유럽 등지에서 채집된다.

이 색의 특징은 색은 아주 아름다우나 산성이므로 약간 변색한다는 점이다. 약간의 변색은 있어도 동양화에서는 아주 선소하는 색이다. 인조색이 아니고 식물성 자연색이므로 가격이 비싸고 진품이라는 이유로 더욱더 귀하게 여기고 있다. 천초는 약재로도 사용되는 것이다.

연지도 최근에는 아주 좋은 합성안료가 생산되고 있다. 최근에 내광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페릴렌 계통이 나와 있는데 작품용으로 권할 만한 색이다.





대자

대자는 고급 안료로서 투명도가 뛰어나다. 비교적 변색이 적은 색으로 다른 색과 혼합하여도 변색되지 않는다. 동양화에서는 비교적 많이 쓰이는 색으로 흑과도 화합하여 많이 쓰인다. 주, 황토보다도 입자가 고운 편인데 좋은 것일수록 입자가 미세하고 색상도 좋다. 현재 좋은 대자는 주로 서독과 영국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화학성분은 산화철과 망간이다. 가격이 싼 편은 아니며 석간주라고도 한다.





본래 남색은 천연염료 중에서 당당히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염료의 하나로서 영어로는 'indigo' 라고 한다. 남색은 식물에서 채집하여 사용되었는데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등 극동지방에서 자생하는 쪽식물에서 주로 추출한다. 색 자체에 살균력도 있어서 옛날에는 의복의 염색에 널리 쓰였다. 현재는 화학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1800년에 합성 성공한 새로운 안료) 유화물물감에서 쓰는 감청이 바로 이것이다. 그러나 이 프러시안 블루도 산성안료여서 약간 문제가 있는데 내광성이 그리 강하지 못해 시일이 경과하면 청색기가 적어지고 흑변하기 쉽다. 안정한 색이 되지 못하므로 현재는 다른 색으로 대치하기도 한다.





녹청

녹청색은 공작석을 미세하게 갈아서 만든 암패색이다. 입자가 크면 진한 암록색이 되고 입자를 곱게 하면 밸록색이 된다. 이 암채색은 고가이므로 현재는 화학적 합성안료가 생산되고 있는데 별로 변색이 없어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혼색으로 유사한 색을 낸 저질의 안료도 많이 있으므로 일단 자체시험을 거쳐서 사용하는것이 좋다.





군청

암채색의 천연 군청 진품은 매우 고가로서 좋은 것은 순금 가격과 비슷하다. 원석은 라피스 라즐리라고 하며 보석에 속하는 남동광이라는 광석이다. 이 원석은 햇볕에 변색되지 않는 아주 좋은 색채이다. 원석의 세계적 산지는 중동의 아프가니스탄으로 아주 좋은 색상의 원석이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너무 비싸기 때문에 현재는 합성 군청이 생산된다. 일반적으로 쓰기 좋고 값도 싸고 색상도 좋다. 그러나 품질에 따른 등급이 있으니 잘 선택하여 쓰기 바란다.





보라

보라색은 염료에서 온 것이 많으며 변하기 쉬우므로 사용할 때 특히 주의해야 한다.


출처-클레화실http://cafe.daum.net/klee7/9Pki/42?q=%B5%BF%BE%E7%C8%AD%B5%B9%B9%B0%B0%A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