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람의 궁전
나호열 시인/세상과 세상 사이

너도 미쳐라 / 나호열

by 丹野 2009. 1. 26.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자화상. 1889년 1월.

 

 

'너도 미쳐라'

이건 내가 나에게 하는 소리다. 나는 80을 살면서 아직 나의 삶에 회의적이다.

 그 누군가의 삶에 흠뻑 젖고 싶다. 아주 진한 삶 말이다. 그래서 택한 사람이 반 고흐다.

빈센트 반 고흐,

그는 오늘도 밀밭에서 그림을 그리고 있을거다. 만나서 '감자 먹는 사람들'과 함께 감자를 먹고 싶다.

 그의 그림은 거만하지  않아서 좋다. 그의 그림엔 사치가 없다. 그는 울고 싶을 때 울고 떠나고 싶을 때 떠난다.

그는 책을 읽으며 그림을 그렸고, 편지를 쓰며 그림을 그렸고, 술을 마시며 그림을 그렸다. 무엇보다도 걸어다니며 그림을 그린

고독한 화가다.

 예술은, 미술이고 음악이고 문학이고 거저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너도 미쳐라' 이 말이 듣고 싶어 고흐에게로 간다.

 

 

 지척에 살고 계신 이생진 선생께  막 출간한 시집을 올렸더니 시집 한 권을 보내 주셨다.

<반 고흐, '너도 미쳐라'>

고흐의 한 평생을 , 그의 그림을 마치 시인 스스로 고흐가 된 듯, 때로는 격정적으로 때로는 서정적으로 

시로 그렸다.

 

위의 글은  시집의 서문이다. 시를 쓰려면 이 정도는 되어야 한다. 

 

 

 

출처-세상과 세상사이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별이 빛나는 밤. 1889년 6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이프러스와 밀밭. 1889년 6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붓꽃. 1889년 5월. 캔바스에 유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두그루의 사이프러스나무. 1889년 6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이프러스와 밀밭. 1889년 6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아를르 전경. 1889년 4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열두개의 해바라기. 1888년 8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해바라기. 188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