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람의 궁전
이탈한 자가 문득/풍경 너머의 풍경

'공존-박생광·천경자, 미래와 만나다'

by 丹野 2009. 7. 14.

 

 

한국화 거장 박생광·천경자를 만나다

출처 / 서울신문

생존작가로 한국화의 독보적인 존재인 천경자(85)가 숙환으로 고생하고 있다는 소문들이 들리면서 천 작가의 작품을 찾는 사람들이 부쩍 늘고 있다.

 
서울 인사동 갤러리 이즈에서 21일까지 열리는 '공존-박생광·천경자, 미래와 만나다' 전시가 반가운 이유다. 오방색을 분방하게 사용하며 마치 조선후기의 민화를 보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하는 '한국의 마티스' 박생광(1904~85), 그리고 이국적인 풍경과 여인을 화려한 채색으로 그려낸 천경자의 작품을 볼 수 있는 드문 기회가 생겼기 때문이다. 이 전시는 옛 학고재 화랑 건물을 인수해 지난해 문을 연 갤러리 이즈가 개관 1주년을 맞아 마련한 첫 번째 기획전이다.

전시는 1층에 '박생광-천경자' 2인전이, 2층과 3층에 고찬규, 곽수연, 권인경, 이길우, 임서령, 임종두, 홍지연 등 젊은 한국화가들의 그룹 기획전이 동시에 진행된다.

20세기 중엽까지 채색화는 문인화(수묵화)가 대세를 이루던 한국화단에서 '왜색(倭色)풍'이라고 해서 무시되거나 거부됐다. 박생광은 현재 '한국 전통 색채의 마술사' 혹은 '민족 혼의 화가'로 평가받지만, 일본에서 유학하고 광복 후 귀국해 채색화를 그리는 그를 한국화단은 반기지 않았다. 그의 나이 79세 되던 1982년 인도 성지순례와 파리여행을 마친 뒤 그는 민속신앙의 무당굿을 비롯해 탈춤놀이, 불교적 장식미, 불상, 십장생 등을 오방색으로 채색하면서 민족화가풍의 그림을 완성했다고 김윤섭 한국미술경영연구소 소장은 분석했다. 이번에 전시되는 '모란과 나비', '불상', '민속도', '나녀4' 등은 1982년 이후의 작업들이다.

천경자의 작업들은 늘 그렇듯이 미인도처럼 여인의 상반신이 화면 전체를 차지하고 있다. 해외 여행길에서 만난 여인들로 '마그라의 무희', '무명배우 신디', '나바호족의 여인', '자바의 여인' 등이다. 천경자가 그린 여인들은 자신의 외로움은 물론 자신의 희망과 꿈까지도 아로새겨 놓았다고 하니, 꼼꼼히 볼 일이다.

한수정 갤러리 이즈 대표는 "갤러리 이즈는 대구 달성의 남평 문씨의 문중문고인 '인수문고'에서 이니셜을 따 지은 이름으로, 이번 박생광· 천경자 전시 작품도 문중에서 컬렉션한 작품들"이라며 "대관 전시에 치중해 왔지만, 이번 전시를 기점으로 앞으로는 기획전시 비중을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02)736-6669.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서울신문( www.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