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람의 궁전
나호열 시인/詩 창작 강의

시의 언어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 / 나호열

by 丹野 2010. 12. 13.

 

 

시작법 제 8강

 

 

시의 언어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

 

                                                        나호열

 

 

 

 

 

시의 언어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1)

 

 

<예문 시 1>

 

 

 

                              김춘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의미가 되고 싶다

 

언어의 특성 : 박상천

 

 

1) 언어는 사물을 존재하게 한다: 언어는 존재의 집 : 하이데거

2) 언어와 사물의 관계는 자의적이지만 사회적 약속이다

3) 시의 언어는 사회적 약속을 깨뜨린다

4) 시는 왜 사회적 약속을 깨뜨리는가?

 

 

   * 언어는 사물 그 자체가 아니라 또한 사물의 공통적인 속성에 자의적으로 이름 붙여진 이름(기호)에 불과하다

   * 언어는 근본적으로 추상적이고 불안전한 것이다

   * 시는 일상의 언어가 지닌 추상성과 불안전성을 언어를 통해 극복하는 노력이다

 

      비유, 묘사, 상징, 이미지 - 개별적 사물에 적합한 이름을 부여한다

5) 시의 언어는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가 아니다

6) 시의 언어는 체험하게 하는 언어이다

 

   * 언어의 기능

 

 

    (1) 정보전달 기능

    (2) 행위요구와 유도 기능

    (3) 새로운 체험 제공의 기능

 

<예문 시 2>

 

 

당신 곁에 머물면

火傷을 입고

 

 

당신 곁을 떠나면

凍傷에 걸린다

 

 

아나벨리 내 사랑

 

 

아아, 불

 

 

                                                             -  이세룡 - 「아나벨리」

 

 

<예문 시 3>

 

나무

 

박목월

 

 

유성에서 조치원으로 가는 어느 들판에 우두커니 서 있는 한 그루 늙은 나무를 만났다. 수도승일까, 묵중하게 서 있었다.

다음 날 조치원에서 공주로 가는 어느 가난한 마을 어구에 그들은 떼를 져 몰려 있었다.멍청하게 몰려 있는 그들은 어설픈 과객일까, 몹시 추워보였다.

공주에서 온양으로 우회하는 뒷길 어느 산마루에 그들은 멀리 서 있었다. 하늘 문을 지키는 파수병일까, 외로워 보였다.

온양에서 서울로 돌아오자, 놀랍게도 그들은 이미 내 안에 뿌리를 펴고 있었다. 묵중한 그들의, 침울한 그들의, 아아, 고독한 모습. 그 후로 나는 뽑아낼 수 없는 몇 그루의 나무를 기르게 되었다.

 

 

* 정리

 

이해: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것을 아는 것

체험: 사건적인 것. 의식의 주체인 ‘나’가 ‘대상’과 만나는 것. 어떤 사물을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보고, 만져보는 모든 것이다

 

 

 

 

 

 

 

 

 

 

 

 

 

 

 

 

 

 

 

 

 

 

 

 

 

 

 

 

 

 

 

 

 

 

 

 

 

 

 

 

 

시작법 제 8강 시의 언어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2)

 

 

1. 언어의 용법 : 리쳐즈

 

   1) 과학적 용법

 

     

       전달을 목적으로 하며, 언어가 갖는 의미를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의미의 혼란이나 논리적 모순이 없는 언어이다.

 

 

 

  2) 정서적 용법

 

 

     언어가 갖는 객관성을 초월한다. 지시대상에 대해서 오류가 크더라도 정서를 일으킬 수 있는 효과가 큰 것이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2. 시 언어의 특성

 

 

  1) 함축성: 한용운의 「님의 침묵」의 ‘님’

  2) 암시성

 

 

<예문>

옛날 중국에서 한 스승이 세 명의 제자를 두고 그림 그리는 것을 가르치고 있었다. 몇 년 동안 그림을 열심히 배운 제자들을 두고서 그들의 실력과 예술적인 재능을 살펴보 기 위해서 스승은 ‘심산에 숨은 절’이라는 제목으로 그림을 그리도록 했다.

첫 번째 제자는 종이의 한가운데, 절의 전체적인 모습을 번듯하게 들어앉히고 그 주 위 둘레는 기암절벽으로 높게 드리운 산의 경치를 그려냈다.

두 번째 제자는 절의 한 쪽 부분만을 보이게 하고 주위에는 기복을 이루고 있는 푸른 산봉우리들이 서로 덮여 있는 모습을 그려 넣었다.

세 번째 제자는 산길 사이에 나 있는 돌층계 몇 개, 그리고 그 앞을 흐르고 있는 계 곡에서 물을 긷고 있는 스님의 모습을 그렸다.

스승은 세 명의 제자들과 함께 그림을 평하였는데, 모두가 세 번째 제자의 것이 훌륭 한 그림이라고 입을 모았다. 스승이 그 까닭을 각자에게 묻자 첫 번째 제자는 경물도 있고 사람도 있기 때문에 그림이 좋다고 했다. 두 번째 제자는 스님의 모습이 있으니 까 가까운 곳에 절이 있음을 말해주기 때문이며 또한 제목과 가장 잘 어울리기에 좋다 는 대답을 했다. 그리고 그 그림을 그렸던 제자는 자기의 그림이 잘 된 까닭은 ‘숨기 는 데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스승도 이 제자의 말에 동감하면서 옛사람 이 말한 바, “경물을 숨기면 경계가 더 커지고 경물을 드러내면 경계가 작아진다”는 이야기를 빗대어 세 번째 제자의 그림이 훌륭함을 설명했다. 그 그림은 말고 가까운 곳에 보이는 산의 모습도 없을뿐더러 깊숙하게 들어앉은 절의 모습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산길 사이에 그려져 있는 몇 개의 돌층계와 계곡은 산의 축도이고 계곡에서 물 을 긷고 있는 스님의 모습은 절을 상징하고 있는 것 이었다. 즉 경물을 숨김으로써 그 그림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오랫동안 곡절과 사연들을 음미하고 상상의 날개를 펼 수 있는 경계를 넓혀 준 것이다.

 

 

3) 애매성

 

 

*애매성의 7가지 유형 : 엠프슨

 

 

1. 하나의 단어나 문장이 동시에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

2. 두 개 이상의 의미가 시인이 의도한 하나의 의미로 나타나는 경우

3. 두 개념이 문맥상 양쪽에 관계되어서 하나로 나타나는 경우

4. 둘 이상의 의미가 서로 모순되게 결합하면서 시인의 복잡한 정신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5. 일종의 직유로서 직유의 두 관념은 서로 어울리지 않으나, 시인의 시작과정 중 한 관념에서 다른 관념으로 옮겨감을, 즉 불명료한 것에서 명료한 것으로 나타나 있음 을 암시하는 경우.

6. 하나의 표현이 모순되거나 아무것도 의미하지 않을 경우에 독자가 그 시 속에 개입 하여 스스로 해석해야 할 경우

7. 하나의 표현이 근본적으로 모순되어 시인의 마음 속에 분열을 일으키고 있음을 암 시하고 있는 경우

 

 

4) 음악성 : 의성어, 의태어

 

 

   시의 음악성은 의미에서 독립될 수 없다 : 엘리어트

 

 

5) 압축성 : 쓸데없는 것을 과감하게 버려라!

 

 

   완성이란 덧붙일 것이 없을 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버려야 할 것이 아무것도 없을 때 이루어진다 : 셍텍쥐베리

 

 

6) 고유성과 정확성

 

 

    보행의 언어 : 어떤 목적을 지향하는 언어 - 산문

    무용의 언어 : 동작 자체가 목적. 표현 - 시

---------------------------------------

                             발레리

 

 

3. 기표와 기의

 

 

 

기표 記票 signfiant : 기호표현 - 음성 (형식)

기의 記意 signfie : 기호내용 - 의미(내용)

 

 

좋은 시는 기호내용보다도 기호표현의 에너지로 홀로 서면서 우리의 주의력을 당긴다

---------------------------------------------------------------

                       유종호

 

 

 

 

1501